본문 바로가기

('_')()()()/머리

장난은 본질에 다다르지 못하는가 빅터 파파넥의 한 저서에 보면 이런 내용이 나온다. 현대 사회에는 쓸모없는 디자인이 너무 많다고. 그 예로 카메라를 들어 설명하는데, 광학기계로써의 카메라의 본질이 일본의 컴팩트한 토이카메라 등으로 많이 훼손되었다는 것이다. 카메라를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에서 진지성이 결여되었다는 뜻이겠지. 읽을 당시에는 굉장한 반발심이 들었다. 진지한 태도에서만 훌륭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장난스러움은 본질의 테두리에 접근하지 못하는가? 장난을 삶에 있어 엄청나게 높은 가치로 쳐주는 나로서는 이해할 수는 있어도 인정하긴 힘든 주장이다. 아무래도 '광학기계'로 사물에 접근하는 사람과 '장난감'으로 사물에 접근하는 사람의 태도와 마음가짐, 그리고 결과물은 상당한 차이를 가지겠지만, '장난감'으로도 얼마든지 근사한 작.. 더보기
아무래도 혼자가 편한 몇 가지 나는 대부분의 영화를 혼자 본다. 혼자 보러가는게 좋다. 타인의 취향을, 스케줄을, 보고난 뒤 감상을 신경쓸 필요가 없으니까. 친구와 영화보러가자는 말이 나온지 2주가 다 되어간다. 이래 미루고, 저래 미루고. 난 이거 좋은데 넌 이거 싫고, 넌 이거 좋은데 난 이거 싫고. 스케줄보다 취향 맞추기가 더 난제다. 한번 굽혀줄법도 한데 아침부터 액션보자는 너의 말이 나는 싫고, 한번 굽혀줄법도 한데 아침부터 다큐보자는 나의 말이 너는 싫고. 왠만한 건 맞춰주겠는데 액션은 도저히 싫다, 는 나의 생각처럼 너도 왠만한건 맞춰주겠는데 다큐는 도저히 싫은거겠지? 우리의 영화약속은 또 이번주말로 '일단' 미뤄진듯 하고, 나는 내일 아침 다큐나 한편 떼고 와야겠다. 우리 둘의 취향을 맞춰줄만한 적정선의 영화는 언제 .. 더보기
아가야, 밝사님을 통해 아기를 위한 노래들을 알게되었다. 그러고보니 아가때 많이 들었으면서도 까맣게 잊고지낸 노래들이 제법 된다. 내가 이런 노래들을 듣고 자랐었지! 하는 반가움과 아련한 마음이 밀려온다. 아가야. 세상의 어느 생명이든 이 세상에 올때는 조그맣고 여린형태로 온다. 그 조그맣고 여린 가슴으로 온 세상을 힘껏 끌어안는다. 빵 하고 터져버릴것만 같은데 아가들은 그 작은 가슴안에 세상을 다 담아낸다. 세상의 수많은 이들은 이렇게 노래한다. '신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그래요. 신이 나를 사랑한다고 쳐요. 그러면 좀 더 튼튼하게 만들어서 세상에 내놓으면 오죽 좋아요? 왜 이렇게 작고 약하게 만들었을까. 다들 인정하잖아요. 훌륭한 어른이 되려면 가정교육이 중요하다고. 주변환경이 그렇게나 중요하다고. 그러.. 더보기
웃는여잔 다 예뻐 일본방송. 정확한 명칭은 모르겠지만 일본 문가리개-냉면집앞에 으레 걸려있는-에 관한 프로그램을 보았다. 천을 염색하는 과정과 여러 아름다운 디자인을 소개하고 있었는데, 그 색채와 문양은 가히 미의식의 극치라 부를 수 있을만큼 아름다왔다. 보자기 하나만 하더라도 네귀퉁이를 각기 다른색으로 물들여 한곳에 모았을때 아름다운 꽃과 같이 보일 수 있도록 하였고, 한보자기의 안감과 바깥색, 또 여러색을 분할해 배치하여 어디서든 지극한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게 했다. 일본의 디자인을 보고 있으면, 대 도회지의 어여쁜 규수같은 느낌이 든다. 많은 것을 보고 들어 세련되고, 감각있으며 요염하다. 본인의 어여쁜 매력으로 사람들을 단박에 사로잡을 줄 알며, 그 매력에 빠진 사람을 쉬이 놓아주는 법없다. 알록달록한것들을 보.. 더보기
꽃, 피어나다 기상이변으로 3월말에도 여전히 눈과 비를 구경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모든 것들은 제 할일을 묵묵히 다 해낸다. 올해 봄에도 화단의 많은 생명들이 움을 틔웠다. 짜잔-하고 어느날 문득 없던 잎이 생겨나는 것이 아닐진대,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말없는 성실을 살피지 못하는 나는, 그래서 올해 봄에도 어김없이 깜짝 놀란다. 제 속에 저마다의 초록을 감춰두고서 다들 저답게 피어나는 봄. 아름다운 봄. 앓음다운 봄. 더보기
無의도에서 비롯된 것은 냉장고에 잠들어있는 반쯤 썩어버린 배 한알을 발견했다. 화단 흙 위에 버렸는데, 오늘 오후에 문득 배를 살펴보니 절반 이상이 사라지고 없다. 아마 새가 쪼아먹은 것이리라. 오! 나는 잠시 기뻤는데, 나의 행위가 다른 생명체에게 보탬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또 생각한다. 친절을 의도하지 않은 나의 행위가 좋은 것으로 귀결되었을때, 그것은 과연 좋은 행동인가? 반대로 악의를 품지않은 어떤 행위의 결과가 좋지않게 끝나버렸을때, 그것을 가리켜 나쁜 행동이라고 할 수 있는가? 행위를 가지고 좋다, 나쁘다/ 옳다, 그르다 할 수 있는 기준은 의도인가 결과인가. 갑자기 머리가 아파지기 시작했다. 더보기